유명 온라인 패션 플랫폼 업체가 신사옥 입주를 앞두고 직장 어린이집을 설치하려던 계획을 전면 취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수요가 적다는 게 주된 이유인데, 이 과정에서 회사 임원이 벌금이 싸다고 언급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황보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성수동에 있는 유명 온라인 패션 플랫폼 '무신사' 신사옥입니다. <br /> <br />지하 4층∼지상 10층 규모로, 다음 달 중순 직원들의 입주를 앞두고 사내 어린이집을 조성할 예정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최근 사측이 어린이집 설치 계획을 전면 무효화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어린이집이 들어서려던 공간도 사무실 용도로 변경됐습니다. <br /> <br />[신사옥 공사 현장 관계자 : 사무실 공간으로 사용하기로 해서, 어린이집이 사라지고 사무실 공간으로 바뀐 거예요.] <br /> <br />갑자기 직장 어린이집이 백지화된 이유가 무엇일까? <br /> <br />이 과정에서 최근 이 업체 임원의 발언이 알려지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신사 A 임원은 지난달 30일 사원들과 온라인 미팅에서 어린이집 개설을 자신이 반대했다면서, "어린이집은 소수의, 운 좋은 사람들이 누리는 복지"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"벌금을 좀 내야 하지만, 벌금이 훨씬 싸다"고 언급한 겁니다. <br /> <br />[B 씨 / 무신사 직원 : (A 임원이) "나중에 실제로 많은 사람이 어린이집이 필요해지면 그땐 다른 공간 임차해서 멋지게 지어드릴게요." 이런 식으로 좀 빈정대면서….] <br /> <br />현행법상 상시 노동자가 5백 명이 넘는 회사는 직장 어린이집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만약 이를 어기면 연간 최대 2억 원의 이행강제금을 내도록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신사는 직원이 천5백 명에 이르는 만큼 직장 어린이집 설치 의무가 있지만, 임원이 공개석상에서 이행 강제금을 무는 게 더 낫다고 발언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회사 측은 보육 수요를 조사했을 때 대상 직원이 93명에 불과했지만, 어린이집 설치와 연간 운영비로 10억 원이 넘게 든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, 직장 어린이집 수요가 늘어나는 시점에 도입 여부를 재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[이승진 / 무신사 커뮤니케이션실 실장 : 이행강제금이 적다는 이유로 어린이집을 재검토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고요, 위탁 (어린이집) 지원 방식도 내년 초 정도까지 검토할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직원들은 최근 진행된 채용 과정에서도 사측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90505324327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